BlockChain [Study]
-
3.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PBFT)BlockChain [Study] 2020. 5. 12. 23:21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블록체인에는 PoW, PoS 등 많은 합의 알고리즘들이 존재한다. 비트코인의 자격증명과 이더리움의 자산증명 방식이 대표적인 예이다. 하지만 이 블로그에서 다룰 블록체인 기술은 주로 Hyperledger Fabric 이기에 PBFT에서만 다루도록 하겠다. PBFT는 PoW나 PoS와 마찬가지로 Byzantine Fault 모델이지만 PoW와 PoS의 단점인 파이널리티의 불확실성과 성능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Hyper ledger Fabric은 다수결로 의사결정을 한 후 블록이 생성되기 때문에 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 한번 확정된 블록은 바뀌지 않는다. (Finality 보장) 파이널리티(완결성) 블록체인의 특징중 하나는 Fi..
-
2. 해시(Hash) 알고리즘BlockChain [Study] 2020. 5. 7. 22:41
2. 해시(Hash) 알고리즘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기본 기술은 ‘암호 해시(hash)’다. 해시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문서를 요약하는 256비트 길이의 약 128글자의 암호 문자열이다. 이 암호해시는 본문의 내용의 요약이 아니며, 내용의 길이와 상관없이 256비트의 일정한 길이의 암호를 생성한다. 암호 해시는 몇 가지 특징을 지닌다. 첫째, 암호 해시만으론 그 내용을 짐작 조차할 수 없다 둘째, 문서 내용이 조금이라도 바뀌면 암호 해시 역시 완전히 바뀌어버린다 셋째, 우연이라도 동일한 암호 해시를 갖는 문서가 나타나선 안 된다(충돌 저항성). 세 특성을 간단히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암호 해시로 문서를 찾을 순 없지만 일단 문서가 주어지면 고유의 암호 해시가 만들어진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암..
-
1. P2P-NetworkBlockChain [Study] 2020. 4. 30. 09:10
블록체인을 처음 접하였을 때는 다른 여느 사람들처럼 비트코인을 생각하였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공부를 시작하고나서 블록체인의 매력이 빠져들게 되었죠. 블록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모든 네트워크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분산 원장(기록)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직, 공부를 시작한지가 얼마 되지 않아 어렵지만... 최대한 내가 이해한 부분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막히는 부분들 까지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준다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블록체인을 이해할 때, 가장 도움이 되었던 키워드 정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P2P-Network 해시 알고리즘 합의 알고리즘 키 스마트컨트랙트 위 5가지의 키워드로 블록체인에 대해서 정리하였을 때, 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