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 P2P-Network
    BlockChain [Study] 2020. 4. 30. 09:10

    블록체인을 처음 접하였을 때는 다른 여느 사람들처럼 비트코인을 생각하였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공부를 시작하고나서 블록체인의 매력이 빠져들게 되었죠.  

    블록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모든 네트워크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분산 원장(기록)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직, 공부를 시작한지가 얼마 되지 않아 어렵지만...  최대한 내가 이해한 부분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막히는 부분들 까지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준다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블록체인을 이해할 때, 가장 도움이 되었던 키워드 정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 P2P-Network 
    • 해시 알고리즘 
    • 합의 알고리즘 
    • 키 
    • 스마트컨트랙트 

    위 5가지의 키워드로 블록체인에 대해서 정리하였을 때, 나는 블록체인이 무엇인지 이해하였습니다. 
    우선, P2P- Network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P2P-Network

    블록체인을 이해하려면 왜 블록체인이 사용되어야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우선, 블록체인은 P2P-Network로 구성되어 있다.

    블록체인의 필요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Server-NetworkP2P-Network에 대해 알아보자 

    Server-based 

    <장점>

    • 유지 보수가 쉽다. 
    • 보안을 유지하기 쉽다. 

    <단점>

    • 서버에 네트워크 트래픽이 집중된다. 
    • Client 접속이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 처리 비용이 증가한다. 

     

    P2P-Network 

    <장점> 

    • 트래픽을 분산 시킬 수 있다. 


    <단점> 

    • 새로운 기능 추가, 업데이트가 어렵다. 
    • 네트워크 전송 시간으로 인해 정보의 불일치가 생긴다. 

    위와 같이 블록체인은 P2P- Network의 '정보의 불일치' 라는 단점을 블록체인이 해시와 합의(Consensus)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기에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해시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lockChain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PBFT)  (0) 2020.05.12
    2. 해시(Hash) 알고리즘  (0) 2020.05.07

    댓글

Designed by Tistory.